aws(5)
-
스토리지, 데이터 백업 / 스냅샷, S3 및 Glacier, AMI/Market Place
◎ 스토리지 정의 및 유형 - 스토리지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 - 스토리지 유형 ●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 직접 서버에 연결하는 저장소 ●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 스토리지를 네트워크로 연결 ▶ 파일 기반의 스토리지 ● SAN ▶ Storage Area Network ▶ 별도의 스토리지용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Fibre Channel) ▶ 블록 기반 스토리지 ※ 스토리지 종류 - 파일, 블록, 오브젝트 스토리지 ◎ 데이터 백업에대해 -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데이터를 복사 후 저장 - 백업이 필요한 주요 상황으로 하드디스크 손상과 데이터베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손상, 개발자 및 작업자..
2022.04.03 -
Amaszon EC2 및 EBS, Amazon Security Group
◎ Amazon EC2에 설명 및 특징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 다양한 사양의 가상화 서버를 선택하여 사용량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Amazon의 가상서버 서비스 - 주요 특징 ● 1개 ~ 수천 개 까지 확장 사능 ● 모든 리전에서 사용가능 ● 자유로운 인스턴스(가상서버) 생성 및 시작, 수정,중단,삭제 가능 ● Linux/Window OS 제공 및 직접 소프트웨어도 설치 가능 ● 사용량에 따른 시간 단위로 비용 지불 ●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용에 모델 또한 있다. ( ex. 온디맨드, 스팟, 예약) ● 최초 가입 후 12개월으 Free tier 기간동안 t2.micro 인스턴스가 월 750간 제공된다. ◎ EC2 인스턴스 유형별 특징 - 범용 : 균형 있는 컴퓨팅, 메모리 및..
2022.04.03 -
확장성과 안정성 높은 서버 구성
◎ 서버와 스토리지 - 서버 ● 특화된 어떤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 ● 성능이 낮은 시스템도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 ● 일반 컴퓨터보다 고성능 CPU, 빠르고 고용량의 메모리, 대용량의 디스크가 요구된다. ● 서버용 OS 설치 : Unix, Linux, Window Server - 스토리지(하드디스크) ●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고 검색 및 삭제를 할 수 있는 공간 ● 물리적인 동작 방식에 따라 자기 디스크 기반의 하드디스크와 메모리 기반의 SSD가 있다. ● 스토리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RAID 등을 사용 ※ 서버에서의 하드디스크 - 서버와 같은 고성능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어레이 컨트롤러(Disk Array Controller)와 RAID(Redund..
2022.03.28 -
AWS(Amazon Web Services) 아마존 웹 서비스에 대해서
◎ 아마존 웹 서비스의 시작 - 1994년 7월 제프 베조스(Jeff Bezos)가 창업한 쇼핑몰로부터 시작되었다. - 이후 자사의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를 오픈 API 형태로 개방 ● 이후 AWS 서비스로 발전 되었다. - 2006년 최초 AWS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 아마존의 시스템 자원을 임대해 주는 Elastic Compute Cloud(EC2) ● 저장소 서비스 Simple Storage Service(S3) - 이후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서비스를 출시하며 아마존 전체 매출의 약 10%, 전체 영업이익의 60 ~ 70% 정도를 담당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 현 퍼블릭 클라우드 전체 시장의 1/3 이상 가량의 점유율을 유지 중이다. ◎ AWS 컴퓨팅 서비스 - Amazon EC2..
2022.03.28 -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서
◎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이라는 통신 서비스를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 종류의 하나로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원격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 - 개인용 컴퓨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나 저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다른 곳에서 빌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IT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에 대해 언제(Any Time), 어디서나(Any Where) 인터넷만 있다면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단 시간 컴퓨터의 자원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 Pay-Per-User Pricing(사용량 기반 과금)으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기업의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방식 - 온 프레미스(On-Premises) ●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 ● 자체적인 데이..
20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