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데이터 백업 / 스냅샷, S3 및 Glacier, AMI/Market Place

2022. 4. 3. 23:13aws

◎ 스토리지 정의 및 유형

  - 스토리지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 

   - 스토리지 유형

      ●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 직접 서버에 연결하는 저장소 

 

      ●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 스토리지를 네트워크로 연결

       ▶ 파일 기반의 스토리지

 

      ● SAN

       ▶ Storage Area Network

       ▶ 별도의 스토리지용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Fibre Channel)

       ▶ 블록 기반 스토리지

 

※ 스토리지 종류 

   - 파일, 블록, 오브젝트 스토리지

 

 

 

 

 

 

 

 

 

 

 

 

 

 

◎ 데이터 백업에대해

   -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데이터를 복사 후 저장

   - 백업이 필요한 주요 상황으로 하드디스크 손상과 데이터베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손상, 개발자 및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데이터 유실이 있다. 

   - 백업이 되는 위치로는 같은 장비 내 같은 저장장치, 같은 장비 내 다른 저장장치

      별도의 백업 저장장치가 있다. 

 

◎ 스냅샷

   - 특정 시점의 데이터 저장장치의 상태를 별도의 파일 또는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

   - 백업 데이터의 최신화가 되지는 않지만 재해복구 및 긴급 복구에 아주 유효하다. 

   - AWS EBS는 스냅샷을 통한 백업 및 복워느 리전 간 복사 등을 지원해 준다. 

 

◎ Amazon S3에 대해

   - Simple Storage Service로 확장성이 뛰어나며 무한대로 저장이 가능한 서비스다.

   - 견고성이 우수해 한 해당 99.999999999% 내구성 보장이 가능하다. 

   - 사용하는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리전 내에서 유일한 '버킷(Bucket)'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 저장 기능을 활용하여 간단한 정적 웹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 

   - 파일 단위 접근 만을 지원해 EBS와 서비스 유형이 다르다. 

   - 과금되는 기준으로는 저장하는 데이터 크기와 액세스 요청 횟수 또

     데이터 다운로드되는 용량이 있다. 

   - AWS 가입시 첫 12개월 Free Tier 사용시 제공 되는 것으로는 5GB S3 스토리지 제공과

     GET 요청 20,000건과 PUT 요청 2,000건이 있다. 

 

◎ Amazon S3 주요 활용분야

   - 데이터 보호 및 백업 및 복구 :  뛰어난 내구성 및 확장성으로 인한 버전 관리 기능

   - 데이터 아카이빙 : 요구사항에 맞는 여러 방식의 아카이빙을 제공한다. 

   - 데이터 레이크 :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의 분석용 저장소로 활용 할 수 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스토리지 : AWS StoIㅇrage Gateway를 통해 온프레미스 환경에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활용하여 데이터 백업 및 재해복구

   - 타 리전으로 복사하여 재해복구

 

◎ Amazon S3 스토리지의 클래스(분류)

   - S3 standard : 표준 저장소로 자주 액세스 하는 데이터를 위한 무제한 저장소로 

                       99.99% 가용성을 제공하고 데이터 저장 암호화 및 SSL 전송을 지원한다. 

   - S3 vywns - IA(Infrequent Access) : S3 표준과 같은 내구도 및 성능을 가지고  있어 99.99% 

                                                   가용성을 제공 하지만 가격은 S3 대비 절반 정도이다. 

   - S3 One Zone - IA : 최소 3개의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반 S3와 달리 단일 AZ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20% 정도 더 저렴하다. 

◎ Amazon S3에 접근하는 방법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관리 콘솔을 이용 ex) API를 통한 Direct 연결

   - CLI(Command-Line Interface) 명령어 인터페이스 이용 ex) 가상터미널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로 연결

   -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모음을 이용 

 

◎ Amazon S3 저장되는 위치

버킷 https://[버킷이름].s3.amazonaws.com
버킷 - 파일 https://[버킷이름].amazonaws.com/파일명
만약 "test" 버킷 내에 'test.jpg'가 있다면 https://test.s3.amazon.com/test.jpg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정적 페이지 제공가능
(단, 외부접근을 위한 퍼블릭액세스차단 해제와 버켓정책을 편집해야 한다. )

◎ S3 접근권한 

소유자가 버킷을 비공개(default) user,인터넷 사용자 접근금지
소유자의 버킷을 공개로 설정한 경우 user,인터넷 사용자 접근가능
소유자가 버킷의 접근정책을 설정한 경우 허가된 user 접근가능
허가되지 않은 user 접근금지

◎ S3의 수명주기 정책

   

    S3 standard (30일) -> S3 standard IA (90일) -> S3 Glacier(365일) -> 삭제

 

◎ Amazon S3 Glacier에 소개 및 특징

   - 소개 

      ● 데이터 아카이빙 및 장기 백업을 위해 안전과 안정성 및 저렴한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 S3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라이프사이클 옵션을 통해 Glacer로 이동이 가능하고 

          비용이 S3에 대비 1/3 절반 정도 저렴하다. 

      ● 아카이빙, 장기간 백업 및 오래된 로그 데이터 등의 저장 용도로 적합하다. 

      ● 보안 및 내구성 또한 우수 하다. 

      ● 데이터 보관에 대한 Free tier 제공은 없다. 

        

※ S3를 사용을 권장하는 경우와 권장하지 않는 경우

권장하는 경우 권장하지 않는 경우
한번 쓰고 여러번 읽어야 하는 data
컨텐츠가 다양하고 데이터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많고 데이터 접근이 일시적으로 급증하는 경우
여러번 쓰기 작업을 하는 데이터인 경우
블록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 S3 서비스 이용시 고려할 점

   - 데이터의 주권 문제

   - 사용자와 가까운 리전 

   - 서비스 제공 여부

   - 리전별 서비스 비용 

 

◎ AMI(Amazon Machine Image)

   - EC2 인스턴스 생성에 필요한 템플릿 이미지로 가상서버 구성을 손쉽게 해줌

   - 사용자가 생성한 AMI를 통해 동일한 인스턴스 생성 가능

     ex) Auto Scalilng 등을 통한 자동생성, EC2 인스턴스의 리전 간 이동

 

◎ Amazon Market Place

   - AWS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판매 및 구매를 위한 온라인 스토어

   - 다양한 카테고리의 소프트웨어인 신뢰할 수 없는 공급업체의 소프트웨어나 

     그 밖의 여러 오픈소스 제품도 찾아서 구매 가능

     ex) SAP,  Zend, Microsoft 등